본 학과는 경영학 학계와 산업현장을 연계하는 Scholar-Practitioners로서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개설되었습니다.
(1) 혁신역량, (2) 의사결정역량,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이라는 3대 핵심역량을 배양하도록 Scholar-Practitioners를 육성하기 위해
4개의 세부 전공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제공하며 글로벌 수준의 높은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통찰력을 함양하고, 조직의 미래 비전 제시를 하기 위해 혁신역량 (Innovative Competency)이 필요합니다.
경영학의 제반 신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입니다.
기업가치창출을 위한 제반 경영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실에 기반한(Evidence-Based), 합리적이고, 인수적인 의사결정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역량 (Decision-making Competency)을 키워야 합니다.
기업 가치 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기술과 시장의 변화를 이해하고 디지털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 (Digital Transformation Competency)이 필요합니다.
GCB의 교육목표-핵심역량-세부전공 체계도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실무경력자 우대
구분 | 정시모집 | 수시1차모집 | 수시2차모집 |
---|---|---|---|
온라인 원서접수 | 2025. 10.10(금) 09:00~ 10.23(목) 17:00 |
2025. 11.25(화) 09:00~ 12.05(금) 17:00 |
2026. 01.15(목) 09:00~ 01.22(목) 17:00 |
서류제출 | 2025.10.27(월) 16:00까지 | 2025.12.09(화) 16:00까지 | 2026.01.16(금) 16:00까지 |
전형일 | 2025.11.03(월)~11.14(금) | 2025.12.15(월)~12.26(금) | 2026.02.02(월)~02.05(목) |
합격자 발표 | 2025.12.02(화) | 2026.01.15(목) | 2026.02.17(화) |
서류심사: 제출 서류 기반으로 지원자의 역량 · 역량과 전공 적합성 평가
면접전형: 학과 교수진과의 면담을 통해 지원자의 연구 주제, 학업 열의, 실무 경력 등에 대한 심층적 평가
입학원서, 학위계획서,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재직증명서(해당자) 등
* 지도교수가 전임교원 경우 지원가능
구분 | 1년차 | 2년차 |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기초공통 (21학점) |
글로벌융합경영 통계분석방법론 | |||
글로벌융합경영 연구방법론 I | 글로벌융합경영 연구방법론 II | |||
글로벌융합경영 세미나 I | 글로벌융합경영 세미나 II | 글로벌융합경영 특정과제강론 I | 글로벌융합경영 특정과제강론 II |
* 교과과정은 추후 변동 가능함
글로벌융합경영학과는 2024년 3월 신설된 일반대학원 소속 학과입니다.
산학협력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는 가운데,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새로운 경영기업의 적용에 대한 산업계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경영학 학계와 산업현장을 연계하는 Scholar-Practitioners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글로벌융합경영학과 대학원에 대한 학과소개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작성법 소개
논문작성 필수자료 및 참고 사이트
국내의 저널 논문, 발표자료, 학위논문 샘플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경영분야 국내의 학회 및 학술대회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논문 작성에 필수적인 자료와 참고 사이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말 및 평일 저녁시간대 강의 개설
업무와 학업 병행의 효율적 진행을 위하여 글로벌융합경영은 주말과 평일 저녁시간대 강의를 개설합니다.
온·오프 하이브리드 학습환경
대면수업을 기본으로 하되, 업무상 돌발적 상황에 대비하여 실시간 온라인 참여 시스템과 녹화 강의를 제공하여 학업에 지장이 없도록 지원합니다.
수시적 연구지도
지도교수와의 정기적 면담을 통하여 연구 및 학업 진행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지도교수와의 자유로운 소통
면대면 및 수시 비대면 소통을 통하여 연구에 대한 의견을 나누어 논문에 대한 생각을 확장합니다.
주제에 대한 차별성 있는 연구방법 지도
연구 진행에 대한 수시 피드백과 학생과의 대화를 통하여 완성도 높은 연구가 이루어집니다.
학업 중심의 Scholar-Practitioner 양성
조직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연구를 접목하여 학계와 산업을 연계하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국내 세미나 지원
해외 대학 교수 및 해외 최상위 저널 심사위원 초청 세미나를 비롯하여, 국내 각 분야의 저명한 현직 교수진이 진행하는 세미나와 특강 등 폭넓은 학문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연구소프트웨어 지원
반복적소모적인 업무를 자동화하여 연구자가 창의적이고 핵심적인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ChatGPT, Claude등 다양한 연구소프트웨어를 지원합니다.
'함께 걷는 연구의 길, 함께 짓는 지식의 터'
박사과정의 가장 큰 도전은 홀로 감당해야 하는 외로운 부담입니다.
글로벌융합경영은 서로를 독려하며 함께 나아가는 연구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국내 학술대회 참가를 통한 연구력 향상
국내의 영향력 있는 학회에 참석하여 최신 연구 트렌드 파악 및 연구 주제 발굴.
자신의 연구 발표에 대한 객관적 피드백을 바탕으로 연구 방향의 구체 설정에 간의 강력한 네트워크
학업의 배경 적응을 위한 선배들우들이 주체가 되어 우리멘터역의 진행 및 환영식.
호뻬연구자의 연구에 대한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는 멘토링 제도 운영. 글로벌융합경영학회 창립
'함께 짓는 지식의 터'로서의 비전리 담체인 글로벌융합경영학회를 설립하여
연구진들 간의 활발한 교류를 장려하고, 협업연구를 지원하여 글로벌융합경영학과 학생이 주축이 되어 최초로 학회를 설립하였습니다.
강주영 교수는 텍스트마이닝 및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지능정보시스템 분야를 연구하고 있으며 대표 수업은 R프로그래밍, 텍스트마이닝과 비즈니스애널리틱스이다.
다산관 429호 | jykang@ajou.ac.kr
전공: Text mining,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 Big Data Analysis
윤천석 교수는 실무부문에서 종합상사맨, MLB와 NPB 등 외국 콘텐츠 협상대표, 영자신문 정치부-외신부 기자, 공중파 TV 스포츠 기자-영어, 뉴스 PD, 방송사 해외법인 임원으로 일하며 콘텐츠 제작과 전략을 경험하였으며, 이로 부문은 스포츠 마케팅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와 소비 관련 강의와 저술 작업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다산관 306-1호 | seoul80@ajou.ac.kr
전공: Sports and Entertainment Marketing
Lee'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corporate governance, Performance evaluation and budgeting. He is an editorial board member of KSMS. He has introduced accounting and statistics courses, such as financial accounting, managerial accounting and statistics to the Ajou, Baylor, and MBA students.
다산관 521-1호 | yk69@ajou.ac.kr
전공: Corporate Governance, Performance Evaluation, Budgeting
심규철 교수는 재무학 및 경제학 이론과 수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최적 소비 및 투자, 금융파생상품 가격 결정, 주주와 경영진 간의 대리인 문제 등에 관해 연구하고 있으며 재무관리, 기초금융통계, 고급금융통계, 금융서현대수 등의 교과목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다산관 428호 | gshim@ajou.ac.kr
전공: Investment, Theory of Optimum Consumption Investment, Risk Management
이한솔 교수는 경영과학, 생산운영관리 분야를 전공하였으며 Business Analytics 관점에서 데이터 분석, 최적화 및 계량적 분석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Data-driven Quality Management, Organizational Human Behavior, Supply Chain Optimization에 대해 연구 중이다.
다산관 419-2호 | lhs15@ajou.ac.kr
전공: Optimization, Econometrics, Big Data Analysis
장병윤 교수는 통계, Simulation, 최적화 등의 계량적 경영기법을 적용하여 비즈니스 모델 혁신, 공급망 관리, 정보통신경영 등의 연구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AI 비즈니스 모델 혁신', '사 기술 확산 예측 및 대응', '정보통신기술과 공급망의 변화', '기업가치 평가등에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다산관 420호 | bychang@ajou.ac.kr
전공: Applied Statistics, Business Model Innovation, Supply Chain Management, ICT Management
최명원 교수는 조직 구성원의 학습과 성장에 관심을 갖고 역량개발, 개발지원 관계 등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강의 과목은 조직행위론,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개발 협상론 등이다. 선발, 역량모델링, 역량진단 등에 대한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다산관 529호 | mwchoi@ajou.ac.kr
전공: Human Resource Development
김태진 교수는 반도체 장비 분야 Global leading 기업인 미국 Applied Materials의 한국법인에서 이사로 재직중이며, Service robot의 Anthropomorphism 및 AI-powered digital human과 consumer trust에 관한 실험연구로 국제저널 및 국제학회에서 발표하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경영정보시스템과 글로벌융합경영학과 연구방법론을 강의하고 있다.
tjnettt@ajou.ac.kr
전공: AI, Digital Human, Service Robot, Anthropomorphism, Uncanny Valley
박사과정 재학생들은 다방면의 현직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즈니스 문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융합경영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학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활발한 연구 활동과 뛰어난 통찰력을 바탕으로 각양각색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도메인 지식을 전달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주) 마이크로원
관심 분야: Leadership, Creative behavior, Transformative learning, AI
연구 내용: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 상관관계, AI 수용정도 및 전환학습 증진
라인
관심 분야: Shadow Work, Pseudo Work, Physical AI
연구 내용: AI가 발전시키는 IT의 미래 업무 환경
삼성전자
관심 분야: AI effect, Gamification, Free Rider at work
연구 내용: 생성형 AI를 활용한 준고령 근무자의 노동 생산성 향상 방안
(주) 엘에이티
관심 분야: Organizational Change in DT, Technostress
연구 내용: 디지털기술의 수용과 정착을 위한 조직의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파크시스템 주식회사
관심 분야: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 ICT Management, Behavioral Psychology
연구 내용: 사회정서적 선택이론 기반 고령층의 셀프 키오스크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관심 분야: Usage Intention, Information Systems, Organizational Behavior
연구 내용: 이공계 연구실을 위한 통합 온라인 플랫폼 도입이 연구자들의 플랫폼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식회사 중부에너텍
관심 분야: Renewable Energy Policy,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Climate Change, ESG
연구 내용: 신제도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국내 재생에너지 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제이오텍
관심 분야: AI, Choice Architecture
연구 내용: AI의 선택설계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주)디스커버리러닝
관심 분야: AI Leadership, Human Resource & Development
연구 내용: AI 기반 인적자원개발과 조직변화
경기주택도시공사
관심 분야: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velopment & Management
연구 내용: 경력관리(조직 개인 차원)의 경력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인테그리스
관심 분야: AI Acceptance, Business Coaching , Leadership, Self Development
연구 내용: AI수용성과 코칭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SK하이닉스
관심 분야: Smart Factory, Leadership, Innovation, AI driven operation
연구 내용: 스마트 팩토리 환경에서의 리더십과 전략적 혁신
에드워드코리아
관심 분야: Digital Transformation, AI Transformation, Innovation
연구 내용: 서비스 자동화가 고객 대응에 미치는 영향
(주)파인디앤씨
관심 분야: AI-Driven Personalization, Customer Experience, Behavioral Change
연구 내용: 생성형AI를 활용한 소비자 행동, 마케팅 전략연구
어플라이드머터리얼즈코리아
관심 분야: AI Agent, Robo Advisor, Behavior Change
연구 내용: AI Agent의 디지털 개입과 행동변화 전략
(주)아이앤티로보틱스
관심 분야: AI, Physical Humanoid Robots, Tacit Knowledge
연구 내용: AI도구 사용이 초보 프로그래머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
㈜KT M&S
관심 분야: Customer Experience, Service quality and Marketing
연구 내용: 통신사 마케팅 정책의 서비스 품질 및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양하고 적극적 지원 제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한국장학재단 (https://www.kosaf.go.kr/ko/main.do)
구분 | 정시모집 | 수시1차 모집 | 수시2차 모집 |
---|---|---|---|
온라인 원서접수 | 2025. 10.10(금) 09:00~ 10.23(목) 17:00 |
2025. 11.25(화) 09:00~ 12.05(금) 17:00 |
2026. 01.15(목) 09:00~ 01.22(목) 17:00 |
서류제출 | 2025.10.27(월) 16:00까지 | 2025.12.09(화) 16:00까지 | 2026.01.16(금) 16:00까지 |
전형일 | 2025.11.03(월)~11.14(금) | 2025.12.15(월)~12.26(금) | 2026.02.02(월)~02.05(목) |
합격자 발표 | 2025.12.02(화) | 2026.01.15(목) | 2026.02.17(화) |
아래의 일정은 2025년도 입학기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Department of Global Convergence Business
학장 / 심규철 교수 (Shim, GyuCheol): gshim@ajou.ac.kr
학과장 / 강주영 교수 (Kang, Juyoung): jykang@ajou.ac.kr
학과조교 / 서보규 조교 (Seo, Bogyu): bgseo@ajou.ac.kr
윤천석 교수 (Yoon, Chunsuk): seoul80@ajou.ac.kr
이윤근 교수 (Lee, Yoonkeun): yk69@ajou.ac.kr
심규철 교수 (Shim, GyuCheol): gshim@ajou.ac.kr
이성엽 교수 (Lee, Sungyeop): hicoach@ajou.ac.kr
이한솔 교수 (Lee, Hansol): lhs15@ajou.ac.kr
장병윤 교수 (Chang, Byungyoon): bychang@ajou.ac.kr
최명원 교수 (Choi, MyungWon): mwchoi@ajou.ac.kr
김태진 교수 (Kim, TaeJin): tjnettt@ajou.ac.kr